ProjectDDD/.cursorrules
2025-08-18 14:21:53 +09:00

82 lines
3.1 KiB
Plaintext

@@ -0,0 +1,80 @@
# Unity 6000.1.0f1 + URP 프로젝트 규칙
## 기술 스택
- Unity 버전: 6000.1.0f1
- 렌더링 파이프라인: Universal Render Pipeline (URP)
## 코딩 원칙
### 1. 아키텍처 설계
- 모듈화된 컴포넌트 기반 아키텍처 적용
- MVVM 패턴 적극 활용
- GameState, GameEvent, GameFlow, GameFramework 구조 활용
- Restaurant 관련 시스템 모듈화 (RestaurantState, RestaurantEvent, RestaurantCharacter 등)
- 레이어 간 의존성 최소화
### 2. 종속성 관리
- 인터페이스 기반 설계 우선
- 구체 클래스보다 추상화 선호
- Dependency Injection 패턴 활용
- 강한 결합도 지양, 느슨한 결합도 지향
### 3. 유지보수성
- SOLID 원칙 준수
- 단일 책임 원칙 (SRP) 엄격 적용
- 개방-폐쇄 원칙 (OCP) 준수
- 코드 재사용성 극대화
### 4. 확장성
- 플러그인 아키텍처 패턴 적용
- 이벤트 기반 시스템 활용
- 모듈화된 컴포넌트 설계
- 새로운 기능 추가 시 기존 코드 수정 최소화
### 5. 명명 규칙 (Naming Conventions)
- **변수명**: 의미있는 단어 사용, 줄임말 지양
- ❌ `btn`, `txt`, `obj`, `go`, `ui`, `mg`, `ctrl`, 'kvp' (kvp같은 경우 key 또는 value가 무엇인지 알 수 있는 변수명 사용)
- ✅ `button`, `text`, `object`, `gameObject`, `userInterface`, `manager`, `controller`
- ✅ `keyValuePair`, `tabValueButton`, `enumValueTabButton` (구체적인 의미 표현)
- **함수명**: 동사로 시작하는 명확한 의미 표현
- ❌ `Init()`, `Setup()`, `Get()`, `Set()`
- ✅ `Initialize()`, `SetupComponents()`, `GetPlayerData()`, `SetPlayerHealth()`
### 6. 코드 스타일
- **논리 연산자**: `!` 키워드 대신 `== false` 사용
- ❌ `if (!isActive)`, `if (!hasComponent)`
- ✅ `if (isActive == false)`, `if (hasComponent == false)`
- **문자열**: 리터럴보다 상수 사용 권장
- **컬렉션 타입**: 성능상 우월한 경우가 아닌 이상 `List<>` 사용 권장
- ❌ `int[]`, `string[]`, `GameObject[]` (일반적인 경우)
- ✅ `List<int>`, `List<string>`, `List<GameObject>` (일반적인 경우)
- ⚠️ `int[]` (고정 크기, 성능이 중요한 경우만)
## Unity 특화 규칙
### URP 최적화
- URP 렌더링 파이프라인 최적화 우선
- Shader Graph 활용 권장
- Volume 시스템 적극 활용
- 렌더링 성능 모니터링
### 성능 고려사항
- Object Pooling 패턴 적용
- 메모리 할당 최소화
- 적절한 Update/LateUpdate 사용
- Addressables 시스템 활용
## 프로젝트 구조
- Assets/_DDD: 프로젝트 핵심 시스템 (프로젝트명)
- Assets/_ScriptAssets: 스크립트 에셋 및 ScriptableObject
- Assets/_Scripts: 모듈화된 스크립트 시스템들
- GameFramework: 게임 프레임워크 핵심
- GameState: 게임 상태 관리
- GameEvent: 게임 이벤트 시스템
- GameFlow: 게임 플로우 제어
- Restaurant*: 레스토랑 시뮬레이션 관련 시스템
- InputSystem: 입력 시스템
- Audio: 오디오 시스템
- 각 폴더별 명확한 책임 분리
## 프레임워크 활용
- 기존 프레임워크와의 통합 방법
- 커스텀 프레임워크 확장 방법